top of page

알프스의 디지털 계간지 AAA 는 글로벌 라이브 음악 씬에 관한 정보와 인사이트를 공유합니다.

ALPS’ digital quarterly magazine AAA, shares information and insights on the global live music scene.

알프스의 디지털 계간지 AAA 는 글로벌 라이브 음악 씬에 관한 정보와 인사이트를 공유합니다.

ALPS’ digital quarterly magazine AAA, shares information and insights on the global live music scene.

A Magazine for Live Music & Festivals

알프스의 디지털 계간지 AAA 는 글로벌 라이브 음악 씬에 관한 정보와 인사이트를 공유합니다.

ALPS’ digital quarterly magazine AAA, shares information and insights on the global live music scene.

A Magazine for Live Music & Festivals

2024 아시아 페스티벌의 지형 | FESTFEED

이수정

INTRO

아시아 페스티벌 트렌드 | FESTFEED 세션 1

김해인

INSIGHT

라인업 큐레이션과 딜레마 | FESTFEED 세션 2

이수정

INSIGHT

페스티벌의 타겟팅 - 어떻게 관객을 사로잡을 수 있을까? | FESTFEED 세션 3

김해인

INSIGHT

거침없이 유연하게, 해외로 뻗어 나가는 힙노시스테라피

김미소

ARTIST

ALPS’ digital quarterly magazine AAA, shares information and insights on the global live music scene.

알프스의 디지털 계간지 AAA 는 글로벌 라이브 음악 씬에 관한 정보와 인사이트를 공유합니다.

A Magazine for Live Music & Festivals

알프스의 디지털 계간지 AAA 는 글로벌 라이브 음악 씬에 관한 정보와 인사이트를 공유합니다.

ALPS’ digital quarterly magazine AAA, shares information and insights on the global live music scene.

A Magazine for Live Music & Festivals

세상에 음악을 이야기하는 매체는 많습니다.

하지만, 음악 공연을 산업으로 바라보고 산업 내의 핵심 플레이어인 아티스트, 공연장, 축제 등 라이브 음악과 뮤직과 관련하여...

어느새 2024년도 열흘 남짓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라이브 음악계도 여느 때보다 정신없이 흘러갔던 한해였고요. 새로운 축제가 생겨났고, 기대하지 않았던 해외 아티스트들이 다수 한국을 찾았습니다. 금리와 환율이 불안정한 상황에서 라이브 음악계 종사자들은 위기감과 희망의 사이를 오고갔습니다. 내수 시장의 한계를 돌파하려는 시도가 여기저기서 나타나고, 새로운 기회를 위한 네트워크의 중요성은 더욱 강해집니다. 이 중에서도 올해 두드러진 것은 권역별 네트워크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새로운 시장으로서 아시아 지역은 유례없이 많은 음악 공연이 개최되고 있고 신생 플레이어와 기업이 생겨나고 있습니다.

이에, 2024년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AAA 매거진의 특별 호에서는 [ASIANITY]를 주제로, 지난 6월에 개최되었던 아시아 지역 공연 관계자들의 포럼 [FESTFEED]의 대담을 모두 글로 옮겨 담았습니다.

홍콩 클로켄플랍 페스티벌의 프로모터 코라 찬(Cora Chan), 일본 후지록 페스티벌 프로듀서이자 프로그래머인 조니 모일렛(Johnnie Moylett), 대만 러크페스트의 디렉터이자 아시아 지역의 에이전트로 활약하는 웨이닝 헝(Weining Hung), 태국 마호라솝 페스티벌 공동 디렉터인 사룬 핀라얏(Sarun Pinrayat), 필리핀 원더랜드 페스티벌 디렉터인 존 우이(John Uy), 중국 킬로글로우 페스티벌 디렉터인 장란(Zhang Ran), 일본 원캠프 뮤직 페스티벌, 아리후지 위켄더 프로듀서인 유타 노무라(Yuta Nomura), 대만 공연기획사 ULC 대표 오비스 푸(Orbis Fu), 그리고 싱가포르 공연기획사 나우 라이브 대표인 댄 고든(Dan Gordon)까지 아시아 각국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는 전문가들이 모여 다양한 의견을 개진했습니다.

포럼은 총 세 개의 세션으로, 첫 세션인 ‘Reading Asian Festival Trend’에서는 중소형 페스티벌을 중심으로 아시아 지역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음악 페스티벌의 트렌드를 탐구했고 ‘Line-up Curation and its Dilemma’ 축제 프로그래머로서 아시아 지역의 페스티벌 라인업 큐레이션에 관한 대담을 가졌습니다. 마지막 세션인 ‘Market to Target’에서는 페스티벌과 공연 시장의 마켓과 타겟을 두고 고민과 의견을 나누었습니다.

더불어, 올해 알프스와 함께 첫 유럽투어를 성공적으로 마친 힙노시스 테라피의 인터뷰로 AAA 매거진 특별호를 마무리하였습니다.

세상에 음악을 이야기하는 매체는 많습니다. 하지만, 음악 공연을 산업으로 바라보고 산업 내의 핵심 플레이어인 아티스트, 공연장, 축제 등 라이브 음악과 관련하여 정보와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는 채널은 별로 없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알프스의 디지털 매거진 AAA는 글로벌 라이브 음악 신에 관한 정보와 인사이트를 아카이브하고, 이를 한국의 음악가 및 음악관계자와 공유하기 위해 탄생하였습니다. 데이터로 분석해야 하는 것들과 감각적으로 주목해야 하는 것들, 해외의 공연과 투어 시장을 이해할 수 있는 글과 대화를 모아 더 큰 시장에서 활약하기를 꿈꾸는 동료들과 함께 읽고 논할 거리로 채워보고자 합니다.

계속해서 더 다양한 시장과 세계를 기록하고 공유하는 채널이 되어 보고자 하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5호_2.jpg

HYPNOSIS THERAPY
사진 조이재(@oyespresso) 

ISSUE 05

Creators' Note

ISSUE 05

ASIANITY

WINTER 2024

INTRO

2024 아시아 페스티벌의 지형 | FESTFEED

01

INSIGHT

아시아 페스티벌 트렌드 | FESTFEED 세션 1

02

INSIGHT

라인업 큐레이션과 딜레마 | FESTFEED 세션 2

03

INSIGHT

페스티벌의 타겟팅 - 어떻게 관객을 사로잡을 수 있을까? | FESTFEED 세션 3

04

ARTIST

거침없이 유연하게, 해외로 뻗어 나가는 힙노시스테라피

05

bottom of page